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306

🦌 “지록위마” 뜻과 유래: 진실을 왜곡하는 권력의 언어 📌 “지록위마(指鹿爲馬)”란?뜻: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한다.말도 안 되는 주장을 억지로 밀어붙이는 상황,또는 권력으로 진실을 왜곡하는 행동을 의미합니다.직역:指(가리킬 지)鹿(사슴 록)爲(할 위)馬(말 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한다”📖 어원: 『사기(史記)』 「진시황 본기」 중 조고(趙高)의 이야기🏛 이야기 요약진시황 사후, 아들 **호해(진 이세황제)**가 황제로 즉위합니다.실권을 쥔 **환관 조고(趙高)**는 자신에게 복종하지 않는 신하들을 제거할 계획을 세웁니다.📜 조고의 계략어느 날, 조고는 황제 앞에 사슴을 끌고 와 말이라고 소개합니다.“폐하, 이 훌륭한 말 좀 보십시오.”황제가 의아해하며 묻습니다.“이건 말이 아니라 사슴 아닌가?”조고는 곧바로 주변 신하들에게 묻습니다.“폐하께선.. 2025. 4. 30.
⏱ “초읽기” 뜻과 어원: 시간의 긴장감이 만들어낸 우리말 “하나… 둘… 셋… 숨막히는 순간의 시작” 📌 “초읽기”란?뜻: 일정한 시간이 거의 다 되어 가는 상황에서 남은 ‘초 단위 시간’을 하나하나 세는 것, 또는 그처럼 긴박하고 촉박한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쉽게 말해:“이제 곧 마감이다! 시간이 거의 다 됐다!”는 뜻의 표현입니다.🧾 어원: 바둑에서 비롯된 말🪨 **초읽기(秒讀)**는 바둑 용어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바둑의 ‘초읽기’란?프로 바둑 경기에서는 기본 시간 소진 후,‘1수(한 번의 수)’를 제한된 초 안에 두어야 하는 시간제한 방식이 시작됩니다.이때, 기보원(혹은 심판)이 “하나… 둘… 셋…” 하고남은 시간을 초 단위로 세어주는 것 — 이것이 바로 **‘초읽기’**입니다.초읽기 실패 = 패배!→ 초가 끝나면 수를 두지 못하고 벌칙이나.. 2025. 4. 29.
⚖️ 과유불급의 진짜 의미: 왜 지나치면 모자람보다 못할까? **“과유불급(過猶不及)”**은 단순히 "지나치면 좋지 않다"를 넘어,**‘균형의 미덕’과 ‘절제의 지혜’**를 강조하는 고전적 통찰입니다.이번 글에서는 과유불급의 깊은 의미를쉽고도 깊이 있게, 한눈에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꽉 채우려는 순간, 넘쳐버린다.”🧾 과유불급이란?한자: 지나칠 과(過), 오히려 유(猶), 미칠 불(不), 미칠 급(及)직역: 지나침은 오히려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뜻풀이: 무엇이든 지나치면 부족함보다 못하다. 적당함이 중요하다.📜 어원과 배경출전: 『논어(論語)』원문: 子曰 過猶不及해석: 공자가 말했다.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 ✅ 공자는"조금 모자라는 것(不及)은 아쉬운 것이지만,지나치는 것(過)은 해를 끼치므로 오히려 더 위험하다"라고 가르쳤습니다.**중용(中庸, 균형과 절제.. 2025. 4. 28.
⚖️ 호사다마와 교각살우: 지나침이 부른 역효과 “선한 뜻도, 방향을 잘못 잡으면 독이 된다.” 🧾 의미 비교표 구분 호사다마 (好事多魔)교각살우 (矯角殺牛)직역좋은 일에는 마가 끼기 쉽다뿔을 바로잡다 소를 죽인다뜻풀이좋은 일이 생기려 할 때 방해나 불운이 끼기 쉬움작은 결점을 고치려다 오히려 큰 것을 망침핵심 주제운명의 방해 / 좋은 일 앞의 위기지나친 개입 / 과잉 수습의 폐해감정 뉘앙스운명론적, 조심하라는 경고실천적 반성, 과유불급 경계주로 쓰이는 상황결혼, 승진, 사업 개시 등 좋은 일이 있을 때조직 개선, 문제 해결, 리더십 등 실무 상황🧠 어원과 배경📍 호사다마 (好事多魔)한자: 좋을 호(好), 일 사(事), 많을 다(多), 마귀 마(魔)뜻: 좋은 일일수록 방해도 많다유래: 중국 고대 사상 중 ‘천운이 있을 때에는 마(魔)가 시기한다.. 2025. 4.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