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2 📘 무위도식(無爲徒食): 왜 게으름을 이렇게 표현했을까? “요즘 무위도식하는 느낌이라 좀 찜찜해.”혹시 이 표현, 들어보신 적 있나요?일하지 않고 먹고만 사는 사람을 두고 하는 말,‘무위도식(無爲徒食)’.그 의미와 유래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무위도식의 뜻**무위도식(無爲徒食)**은**“하는 일 없이 먹기만 한다”**는 뜻입니다.즉, 아무런 생산적 활동 없이 놀고먹는 태도를 비판하는 말입니다.한자뜻無 (없을 무)없음爲 (할 위)일하다, 행동하다徒 (헛될 도)무익하게, 헛되이食 (밥 식)먹다 직역하면 “일하지도 않으면서 헛되이 밥만 먹는다”는 뜻이죠. 📜 유래와 어원‘무위도식’은 유교적 가치관과 깊이 관련 있습니다.공자나 맹자의 사상에서 “게으름”과 “무위”는 죄악에 가까운 삶의 태도로 여겨졌습니다. 📖 특히 『논어』에서는 “군자는 게으르지 않으며, 배운.. 2025. 5. 20. 분골쇄신(粉骨碎身): 뼈를 부수고 몸을 부순다는 말의 뜻과 유래 “정말 분골쇄신의 각오로 임하겠습니다.”어디선가 들어본 이 말,과연 무슨 의미이고 어디서 온 말일까요?💡 분골쇄신의 뜻분골쇄신(粉骨碎身)은**"뼈가 가루가 되고 몸이 부서질 정도로 노력한다"**는 뜻입니다.즉, 목숨까지 걸 정도로 충성을 다하거나 극진히 애쓰는 자세를 표현한 말입니다.한자 뜻粉 (가루 분)부서져 가루가 됨骨 (뼈 골)뼈碎 (부술 쇄)산산이 부수다身 (몸 신)몸🧠 어원과 유래‘분골쇄신’은 중국 고전 문헌에서 자주 등장하는 한자성어입니다.특히, **《사기(史記)》**나 《한서(漢書)》 등에서황제나 국가에 충성하는 신하가"분골쇄신하여 충성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말하는 장면이 자주 등장합니다. 즉, 극한의 충성과 헌신을 상징하는 문구였죠.🗣 현대적 용례현대에는 다음과 같이 쓰입니다:📌 “이.. 2025. 5.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