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신잡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 의견이 많으면 왜 일이 꼬일까?

by 하마타 2025. 6. 12.

우리 주변에서는 종종 ‘많은 사람이 참여했는데 일이 오히려 더 안 된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그럴 때 자주 등장하는 속담이 있죠.
바로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입니다. 이 말은 단순히 재미있는 비유에 그치지 않고, 조직 내 갈등과 의사결정 문제를 상징적으로 설명해줍니다.


📚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의 뜻

이 속담은

한 가지 일에 간섭하거나 지시하려는 사람이 많으면 오히려 일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는 의미입니다.

 

‘사공’은 배를 모는 사람, 즉 방향을 결정하고 조정하는 사람인데, 그 수가 많아지면 통일된 방향 없이 혼란만 가중된다는 뜻입니다.
결국 배는 바다로 가야 하는데 산으로 간다는, 말도 안 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는 비유죠.


🧭 유래와 배경

이 표현은 예로부터 여러 사람이 각자 의견을 주장하면서 하나의 일에 질서를 잃게 되는 상황을 풍자적으로 나타낸 말입니다.
우리 조상들은 작은 배를 타고 함께 나룻길을 건널 때, 사공이 둘 이상이면 서로 다른 노를 저어 배가 뱅뱅 돌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가게 되는 현실에서 착안해 이 속담을 만들었습니다.

즉, 공동의 목표가 있어도 조율되지 않은 다수의 개입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 현대에서의 사용 예시

현대 사회에서도 이 속담은 자주 인용됩니다. 예를 들면:

  • 회의에서 의견만 넘쳐나고 결론은 없는 경우
  • 프로젝트를 리더 없이 진행하려다 우왕좌왕할 때
  • 작은 커뮤니티나 단체에서 리더십이 부재한 상황

이럴 때 누군가가 한 마디 하죠.
“사공이 많으니 배가 산으로 가지...”


⚖️ 교훈과 시사점

이 속담은 단순히 ‘참견이 많으면 안 된다’는 뜻이 아니라,

👉 역할 분담, 책임 소재, 리더십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깊은 교훈이 있습니다.
특히 조직이나 팀워크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더욱 중요한 메시지죠.

✔️ “모두가 리더가 되면, 진짜 방향은 잃게 된다.”


🪢 비슷한 의미의 속담

속담 의미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말도 예의가 필요하다
열 명의 장수보다 한 명의 총사령관 리더의 결정력이 중요함
우물 안 개구리 좁은 시야에서 자기 주장만 하는 사람

 

광고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