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상속세와 증여세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이 정보는 2021년 기준이므로 최신 정보는 국세청 웹사이트나 세무 전문가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상속세 세율
상속세는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간별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원)세율 (%)누진공제액 (원)
100,000,000 이하 | 10% | 0 |
500,000,000 이하 | 20% | 10,000,000 |
1,000,000,000 이하 | 30% | 60,000,000 |
3,000,000,000 이하 | 40% | 160,000,000 |
3,000,000,000 초과 | 50% | 460,000,000 |
증여세 세율
증여세 또한 과세표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간별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 (원)세율 (%)누진공제액 (원)
100,000,000 이하 | 10% | 0 |
500,000,000 이하 | 20% | 10,000,000 |
1,000,000,000 이하 | 30% | 60,000,000 |
3,000,000,000 이하 | 40% | 160,000,000 |
3,000,000,000 초과 | 50% | 460,000,000 |
절세 방법
상속세와 증여세를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여 공제 한도 활용: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할 때, 성인은 10년간 5천만 원, 미성년자는 2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이를 활용하여 증여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가업상속공제: 가업을 상속할 경우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최대 500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 활용: 부동산을 미리 증여하거나 상속받아 재산 증식을 통해 절세할 수 있습니다.
- 신탁 활용: 신탁을 통해 재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증여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 보험 활용: 보험을 통해 사망 시 보험금을 수령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전문가 상담: 세무사나 재무설계사와 상담하여 개인 상황에 맞는 절세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의 정보는 일반적인 절세 방법이며, 개인의 재정 상황에 따라 최적의 절세 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절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뙤약볕 땡볕 불볕 (0) | 2024.06.19 |
---|---|
OECD 주요 국가별 상속세 및 증여세 (0) | 2024.06.19 |
데꾸바꾸 뜻 (0) | 2024.06.19 |
'타산지석' 과 '반면교사' 뜻과 차이 (0) | 2024.06.19 |
비명횡사 뜻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