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4

'하마평' 뜻 하마평공직자 인선이 있을 때 언론에 자주 보이는 단어죠."하마평이 무성하다""하마평에 오르내리다." 그럼 여기서 하마평은 뭘까요? 하마평을 알려면 먼저 한자를 알아야죠.하마평의 한자는 下馬評입니다. 下 아래 하馬 말 마評 평할 평풀이하자면 "말아래에서 평하다" 쯤이겠네요. 도대체 왜 이런 말이 나왔을까요? 어원을 이해하고자 하면 역사를 조금 거슬러 올라갑니다.말에서 내려 걸어감으로써 예의를 표시하라는 문구를 새겨서궐문(闕門) · 능묘(陵廟) · 문묘(文廟) · 서원(書院) 등의 입구에 세우는 비석으로 조선시대종묘의 앞에서는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말에서 내려서 걸어서 들어가야  이렇게 '여기서부터는 말에서 내리시오'라는 걸 명확히 표시하기위해 표지석을 세웠죠.그 표지석이 "하마비"입니다.  하마비 앞에서 내.. 2024. 9. 19.
'음복' 뜻 국어사전의 정의를 보면 음복은 다음과 같습니다.飮福(음복)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음. 飮 마실 음 福 복 복‘음복’이라 함은 조상이 내리는 복을 받는다는 뜻으로 본래 제사에 올렸던 술을 마시는 것만을 음복이라 하였으나 현재에 이르러 모든 제사음식을 먹는 것도 포함하게 되었습니다. 음복은 제물에 정성을 담아 조상에게 드리고, 조상은 이를 흠향한 다음, 다시 제물에 복을 담아 후손들에게 돌려주는 과정으로 음복은 제주만 하지만 제사가 끝나면 제사 참석자들과 이웃까지 음복을 함으로써 조상과 인간의 만남을 통해 참석자들과 함께 복을 나누는 것입니다. 2024. 9. 10.
제육덮밥, 제육볶음 에서 '제육'은 뭘까? 제육볶음 과 제육덮밥에서 제육은 뭘까요? 국어사전을 찾아보면제肉이라고 나옵니다. 제肉 : 식용으로하는 돼지고기  국적없는 말이 나오게됩니다.한글 한자와 한자의 조합? 아니죠. 원래는 '제육'이 아니라 '저육'이 맞습니다.발음상이나 듣기에 거북하지 않고 편해서제육이 된건지는 모르겠으나맞는 말은 저육입니다. 猪肉 저육 : 돼지 고기 猪 돼지 저肉 고기 육 원래가 저육이라도 현재는 제육이 일반화되어있으니제육으로 써야겠지요.언어는 생물이니까요. 별책부록서유기에 나오는 저팔계는 한자로 豬八戒 저팔계는 원래 하늘의 '천봉원수'라는 장군이었지만 술과 여색을 밝혀 그 벌로 요괴로 환생해 저팔계(猪八誡), 혹은 저오능(猪悟能)이라 불리웠다합니다. 2024. 7. 22.
게임이론, Tit for Tat 게임이론경제학, 정치학, 생물학, 컴퓨터 과학 등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학적 이론으로,경쟁과 협력 상황에서의 전략적 상호작용을분석하는 학문입니다. 게임이론은 주로 '플레이어', '전략', '보수'라는세 가지 주요 요소를 포함합니다. 게임이론의 주요 요소:플레이어: 게임에 참여하는 개체나 개인.전략: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행동의 집합.보수: 각 플레이어가 선택한 전략의 결과로 얻는 이득이나 손실.Tit for Tat 전략Tit for Tat(눈에는 눈, 이에는 이) 전략은반복되는 게임 상황에서 사용되는 전략 중 하나로,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첫 번째 단계에서는 협력.그 이후 단계에서는 상대방이 이전 단계에서 한 행동을 그대로 따라함.이 전략은 로버트 액설로드(Robert Axelrod)가 주.. 2024. 7. 5.
반응형